블록체인이란?

1. 거래에 참여한 모든 구성원에게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이라고도 부르며 보안성이 좋고, 데이터 보호에 드는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2. 여러 건의 거래내역이 일정 시간마다 하나의 블록(Block)으로 묶여, 기존 생성된 블록에 체인(Chain)처럼 연결하여 기록을 연속적으로 보관하는 것

 

3. 이전에 거래 내역의 검증 데이터를 연계하여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블록이 쌓일수록 보안이 강화되는 구조를 갖습니다.

즉 , 각 블록에는 그 이전 블록의 모든 내역에 대한 검증 기록을 가지고 있게 되며, 한 번 등록되면 변경이 불가능한 구조입니.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원장관리합니다. 장부(legdger)가 있습니다. 

 

분산형이며 모든 거래 참여자가 거래 내역을 확인하고 공증 및 관리, 거래내역이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공유되고 보관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비용은 적으며 낮은 유지보수 비용이 들며 , DDOS 공격 불가, 거래 정보 투명성 유지, 거래내역 위조 불가능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느린 거래 속도와 제어의 복잡성이 띄웁니다. 

 

2. 블록체인의 구조와 해시 

1) 일정시간 동안 진행된 거래 내역을 블록화 해서 연결하는 것, 이때 블록화의 방법에는 해시 알고리즘이 이용됩니다.

전달된 해시값이 포함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넌스(Nonce)값을 추가하여 새로운 해시값을 구합니다. 

 

2) 해시 과정은 미리 합의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값이 도출되도록 넌스 값을 계속 조정하면서 계산합니다. 

만일 조건 해시값이 도출 -> 성공 시 넌스 값 및 해당 거래내역 등을 묶어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직전 블록과 연결합니다. 

 

3) 새로 생성된 블록에는 직전 블록의 해시값도 포함됩니다. 만약 직전 블록의 해시값이 조작이 됐을 때 검사를 통해 쉽게 파악됩니다.

 

3. 클라우드 기반의 블록체인(BaaS : Blockchian as a service) 필요성 및 장점

클라우드에서 블록체인을 어떠한 용도로 사용할까?라고 생각했었을 때 클라우드 인프라의 잇점과 서비스 개발 시간 단축, 개발 용이성 등이 있습니다.  

 

 

만약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를 하게 된다면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활한 블록체인 프로비저닝 : Paas환경으로 써 간단한 모델을 제공

2. 탄력적인 확장성 : 노드를 추가하고 제거하는 일을 단순함

3. 글로벌 가용성 : 프로비저닝이 가능함(어디서나) 

4. 단순한 프로그래밍 모델 : 단순한 프로그래밍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상 포스터를 마치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블록체인이 속도적인 측면과 보안이 강화된다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